근로장려금 2025년 신청 일정 – 지급일, 자격조건 총정리 (최대 330만 원)
“일은 열심히 했는데, 통장에 남은 건 없나요?”
그런 분들을 위한 제도가 바로 근로장려금입니다. 정부에서 매년 수십만 명에게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하는 이 제도, 모르면 그대로 놓쳐버리지만,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자격자도 정말 많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일정과 대상, 지급일까지 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근로장려금이란?
근로소득이 있지만 소득이 낮은 근로자, 사업자, 종교인에게 정부가 지원금을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- ✔ 정기 신청 시 매년 5월 접수
- ✔ 반기 신청(상·하반기)도 가능
- ✔ 신청 후 약 3개월 이내 지급
2025 신청 일정 및 주요 날짜
① 정기 신청
- 신청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지급 예정일: 2025년 8월 중순 이후
② 반기 신청
- 하반기분 신청: 2025년 3월 1일 ~ 3월 15일
- 지급 예정일: 2025년 6월 중순 이후
신청 기간을 놓치면 '기한 후 신청'으로 인정되어 지급액이 10% 줄어듭니다.
2025년 근로장려금 지원 금액
- ✔ 단독 가구: 최대 150만 원
- ✔ 홑벌이 가구: 최대 260만 원
- ✔ 맞벌이 가구: 최대 330만 원
지원 대상 요건
- ✔ 총소득 기준: 단독 2,400만 원 / 홑벌이 3,200만 원 / 맞벌이 3,800만 원 이하
- ✔ 재산 기준: 가구 재산 2억 4천만 원 이하
- ✔ 2024년 근로·사업·종교 소득이 있는 사람
프리랜서, 일용직, 자영업자도 해당됩니다. 단, 소득금액증명원, 재산세 등 증빙자료 확인 필수입니다.
자주 빠뜨리는 실수는?
- ✔ 부양가족 유무 누락 → 지원 금액이 줄어듦
- ✔ 소득 누락 또는 과소 신고 → 신청 반려 사유
- ✔ 신청 기간 착오 → 기한 후 신청으로 감액
신청만 해도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제도
근로장려금은 신청만 하면 확정소득과 재산만 맞아도 꽤 높은 금액이 지원되는 제도입니다. 매년 수십만 명이 몰라서 놓치고, 나중에 알게 되어도 10% 감액 지급받는 경우가 많아요.
내가 받을 수 있는 제도인지 확인하고, 정해진 기간에 꼭 신청하세요. 이건 복지가 아니라 권리입니다.
자주 묻는 질문
Q. 무직자인데 과거 소득이 있으면 신청 가능한가요?
네. 2024년도에 근로·사업 소득이 있었다면 가능합니다.
Q. 부양가족이 없는 1인 가구도 받을 수 있나요?
예. 단독 가구도 최대 1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Q. 알바만 해도 신청이 되나요?
네. 일용근로소득도 포함됩니다. 단, 소득금액 증빙이 중요합니다.
Q. 자동으로 입금되나요?
아니요. 반드시 신청해야 지급됩니다. 신청은 홈택스 또는 모바일 앱에서도 가능합니다.
반응형